본문 바로가기

코딩 학습/Aws

[aws] RDS 에서 이미 존재하는 db 백업하기 aws RDS 를 이용해보려고 시도중인데, 이미 ec2에서 db를 만들어 쓰다 보니 연결후에 다시 RDS에서 table만들고 있자니 매우 갑갑한 상황이었다. 해서 이미 있는 mysql db를 RDS로 옮기는 법을 찾는데, 늘 그렇듯이 aws 설명은 너무도 어렵다. 1시간 쯤 해매서 찾아낸 방법은 아주 간단했다. 1. 먼저 ec2의 db를 sql형태로 파일을 만든다. mysqldump -u [username] -p [database_name] > database_backup.sql 이러면 'database_backup.sql'이란 이름으로 파일이 기본 위치에 만들어 진다. 2. RDS mysql db에 접속한다. mysql -u [userName] -p -h [RDS endpoint] 3. 집어넣을 dat.. 더보기
[aws] ubuntu 자주 까먹는 명령어 모음 상위 경로 cd .. 디렉토리 내용 리스트 확인 ls 디렉토리 내용의 권한 확인 ls -l 파일의 권한 소유자 변경 sudo chown (사용자) /var/testfile.txt 디렉토리(및 하위 파일)의 권한 소유자 변경 sudo chown -R (사용자) /var/testfile/ 디렉토리(및 하위 파일)의 권한 소유자 변경 + 그룹 소유권 변경 sudo chown -R (사용자):(그룹) /var/testfile/ 더보기
[aws] EC2와 연결된 RDS로 EC2에서 접근하기 aws 에서 db와 연관된 서비스를 만들다 보면 ec2에서 직접적으로 db를 만드는 것이 아닌 RDS(Relational Database System)이라는 db 특화된 서비스를 통해 db를 제작하고 저장하도록 하길 권한다. 차이가 있다면 1. EC2에서는 db 까는것, 백업 설정, 확장 등을 개인이 직접 다해야 하는 날것 그대로의 pc만 빌려주는것이고 2. RDS 는 db 관리하는데 필요한 기초 설정은 스스로 해주는 서비스 이다. (때문에 비용이 별도로 든다) 쨌든 서비스에 보안이 필요한 요소가 들게되면 ec2는 아무나 들락거리는 곳이기에 RDS를 별도로 만들어서 ec2-RDS 만 통하도록 분리를 해두고 RDS에 ec2만 접근가능하게 해서 db를 이용하게 하는것이 권장된다. 해서 ec2에 처음으로 RD.. 더보기
[aws] sqlite3 및 mysql 설치 sqlite3 설치 sudo apt-get install sqlite3 mysql 설치 sudo apt-get install mysql-server 더보기
[aws] python 가상환경 설치하기 간단하다. 1. 파이썬 가상환경 모듈을 설치한다. sudo apt-get install python3-venv 2. 설치하고자 하는 디렉토리(폴더)에 접속한 뒤 가상환경을 설치한다. python3 -m venv mvenv 여기서 mvenv는 설치하고자 하는 가상환경의 이름이다. (본인 맘대로 하면 된다.) 추가로 shell 환경에서 바로 가상환경을 이용하려고 하면 source mvev/bin/activate 위 명령을 입력하면 명령줄 앞에 아래와 같이 가상환경이 붙는것을 볼수 있다. 끝. 더보기
[aws] apache 서버 세팅 방법 (+APM 세팅) ubuntu 환경에서 웹 서버를 설치하기 위해서 간단한 명령이 필요한데, 매번 외어지지 않아서 서칭 하거나 chatgpt에게 물어봤는데, 웹 서칭이나 chatgpt나 동일한 답이 나오지 않으나 내가 원하는 간단한 세팅은 동일한 프로세스로 가능하기에 다음번에는 편하기 위해서 정리한다. 먼저 본인의 경우, apache서버를 설치하기로 한다. 1. 시스템의 패키지 목록을 업데이트 한다. sudo apt-get update 2. Apache 서버를 설치한다. sudo apt-get install apache2 3. 설치가 완료되면 서비스가 제대로 실행되었는지 확인한다. sudo systemctl status apache2 를 하면 콘솔에서 acitve (running)이 초록색으로 나타나는걸 확인할 수 있다. .. 더보기
[aws] SES 서비스 연동 과정 정리(php), 삽질의 연속 기존에 쓰던 무료 서버에서 통신에러가 자꾸 발생하는것을 우려하다가 홧김에 '그래 기왕하는거 aws 가서 해보자' 라고 시작했던 aws 이전 소동 그중에 제일 오래 걸렸던 php로 메일을 보내기 위한 SES 서비스 연동과정에서 생겼던 문제들을 정리해보았다. (기존 서버에서는 그냥 'mail()' function으로 수행 -> 메일이 자꾸 스팸함으로 + aws 서버에서는 안보내짐) 내가 막혔던 문제는 크게 정리하자면 1. SES dkim 인증 문제 2. composer aws-sdk-php 설치 문제 3. aws credential 위치 문제 4. aws credential access key 인증 문제 가 있었고 각각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정리해두었다. 1. SES dkim 인증 관련 - 구글 도메인을 이.. 더보기
[aws] ubuntu 환경에서 PHP composer 설치 방법 aws로 서버를 옮기던 도중, aws ses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 서버에 php composer 를 설치하는 과정이 필요했다. 블로그나 글을 찾아보다가 ubuntu 환경에서 이용하는 명령어가 안보여서 해메던 도중 gpt의 글이 잘 뽑아준것 같아 정리해본다. 1. 필요한 패키지들을 업데이트 하고 설치한다. (기존에 php 설치가 끝났다면 필요 x)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curl php-cli php-mbstring git unzip 2. Composer 설치 스크립트를 다운로드하고 실행한다. curl -sS https://getcomposer.org/installer - o composer-setup.php 3. 스크립트 해시 확인(왠만하면 필요 x)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