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딩 학습

[aws] ubuntu 자주 까먹는 명령어 모음 상위 경로 cd .. 디렉토리 내용 리스트 확인 ls 디렉토리 내용의 권한 확인 ls -l 파일의 권한 소유자 변경 sudo chown (사용자) /var/testfile.txt 디렉토리(및 하위 파일)의 권한 소유자 변경 sudo chown -R (사용자) /var/testfile/ 디렉토리(및 하위 파일)의 권한 소유자 변경 + 그룹 소유권 변경 sudo chown -R (사용자):(그룹) /var/testfile/ 더보기
[aws] EC2와 연결된 RDS로 EC2에서 접근하기 aws 에서 db와 연관된 서비스를 만들다 보면 ec2에서 직접적으로 db를 만드는 것이 아닌 RDS(Relational Database System)이라는 db 특화된 서비스를 통해 db를 제작하고 저장하도록 하길 권한다. 차이가 있다면 1. EC2에서는 db 까는것, 백업 설정, 확장 등을 개인이 직접 다해야 하는 날것 그대로의 pc만 빌려주는것이고 2. RDS 는 db 관리하는데 필요한 기초 설정은 스스로 해주는 서비스 이다. (때문에 비용이 별도로 든다) 쨌든 서비스에 보안이 필요한 요소가 들게되면 ec2는 아무나 들락거리는 곳이기에 RDS를 별도로 만들어서 ec2-RDS 만 통하도록 분리를 해두고 RDS에 ec2만 접근가능하게 해서 db를 이용하게 하는것이 권장된다. 해서 ec2에 처음으로 RD.. 더보기
[flutter] repository 패턴 곧 준비해서 디테일 수정 해보자, 지저분하고 반복하는 코드 좀 떠나보자, 일단은 gpt 답변 더보기
[aws] sqlite3 및 mysql 설치 sqlite3 설치 sudo apt-get install sqlite3 mysql 설치 sudo apt-get install mysql-server 더보기
[mysql] 자주 까먹는 mysql 명령어 모음 last update : 23.11.02 Mysql root 계정 접근 : sudo mysql -u root -p mysql 일반 계정 접근 : mysql -u username -p mysql 계정 생성: create user '계정아이디'@'localhost' identified by '비밀번호'; 계정 권한 주기 GRANT SELECT, INSERT ON database_name.table_name TO 'username'@'localhost'; GRANT ALL PRIVILEGES ON database_name.table_name TO 'username'@'localhost'; 계정 list 조회 : SELECT User, Host FROM user; Database 생성: CREATE DATABA.. 더보기
[flutter] edge-detection 모듈 관련 기록 flutter 로 서비스를 개발 하던 도중 카메라로 사진 찍고 crop 하는 기능이 필요해서 edge-detection이라는 모듈을 사용중인데, 해당 모듈이 생각보다 정확치가 않고 필요한 기능을 수정해야 하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이놈이 1) git과 연동되지 않고 2) 원 제작자가 업데이트 하면 내가 수정했던 최적화값이 원 파일을 따라가는 문제가 발생해서 아래와 같이 따로 작성을 해둬서 언제든 변경할 수 있게 한다. 언젠가는 내가 따로 모듈을 만들기는 해야겠다. 1. 사진 캡쳐 부분 안드로이드 : Android - src - main - kotlin - com - sample - edgedetection - processor - PaperProcessor.kt Imgproc.c.. 더보기
[aws] python 가상환경 설치하기 간단하다. 1. 파이썬 가상환경 모듈을 설치한다. sudo apt-get install python3-venv 2. 설치하고자 하는 디렉토리(폴더)에 접속한 뒤 가상환경을 설치한다. python3 -m venv mvenv 여기서 mvenv는 설치하고자 하는 가상환경의 이름이다. (본인 맘대로 하면 된다.) 추가로 shell 환경에서 바로 가상환경을 이용하려고 하면 source mvev/bin/activate 위 명령을 입력하면 명령줄 앞에 아래와 같이 가상환경이 붙는것을 볼수 있다. 끝. 더보기
[aws] apache 서버 세팅 방법 (+APM 세팅) ubuntu 환경에서 웹 서버를 설치하기 위해서 간단한 명령이 필요한데, 매번 외어지지 않아서 서칭 하거나 chatgpt에게 물어봤는데, 웹 서칭이나 chatgpt나 동일한 답이 나오지 않으나 내가 원하는 간단한 세팅은 동일한 프로세스로 가능하기에 다음번에는 편하기 위해서 정리한다. 먼저 본인의 경우, apache서버를 설치하기로 한다. 1. 시스템의 패키지 목록을 업데이트 한다. sudo apt-get update 2. Apache 서버를 설치한다. sudo apt-get install apache2 3. 설치가 완료되면 서비스가 제대로 실행되었는지 확인한다. sudo systemctl status apache2 를 하면 콘솔에서 acitve (running)이 초록색으로 나타나는걸 확인할 수 있다. .. 더보기